Home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희망편04)
Post
Cancel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희망편04)

연관관계 매핑

세상에 혼자만 사는 사람이 없듯이 객체 새상에서도 서로 서로 연관이 있다. 대부분의 엔티티는 다른 엔티티와 연관관계가 존재한다. RDB에서는 외례키를 이용하여 테이블간의 관계를 정리 한다. 그렇다면 ORM에서는 어떻게 관계를 정리 할까?

시작하기 전에 연관관계 매핑의 핵심 키워드들을 확인해보자.

  • 방향Direction: [단방향, 양방향]이 있다. 알기 쉽게 예를 들어보자. 한 연예인이 있다. 너무 유명해서 그 연예인은 모르는 사람이 없다. 그렇다면 그 연예인은 본인을 아는 모든 사람을 알수 있을까? 아마도 알기 힘들 것이다. 이러한 한쪽에서만 아는 것은 [단방향], 한쪽이 아닌 양쪽이 모두 안다면 [양방향]이라 칭한다. 이러한 방향성은 사실 각 각의 관점에서 보면 [양방향] 이라기 보다는, 두 개의 [단방향]이라 할 수 있다.
  • 다중성Multiplicity: [다대일N:1, 일대다1:N, 일대일1:1, 다대다N:M] 다중성이 있다. 위 예를 계속 이용해 보자. 연예인이 한명, 아는 사람이 여러명이라면 [1:N] , 아직은 유명하지 않아 [1:1] 일 수도 있으며, 그룹가수라면 [N:N] 이수도 있다.
  • 연관관계의 주인owner: 객체를 양방향 연관관계로 만들면 연관관계의 주인을 정해야 한다. 방향을 설명할 때. 두 새의 단방향이라 할 수 있다고 하였다. 때문에 이러한 관계의 중심이 되는 객체를 선정 해 주어야 한다. 이러한 관계의 주인이 되는 객체를 연관관계의 주인 이라 표현한다.

5.1 단방향 연관관계

연관관계 중에선 다대일N:1 단방향 관계를 가장 먼저 이해해야 한다. 회원과 팀의 관계를 통해 다대일 단방향 연관관계를 알아보자.

  • 회원과 팀이 있다.
  • 회원은 하나의 팀에만 소속될 수 있다.
  • 회원과 팀은 다대일 관계다.
*다대일 연관관계다대일N:1, 단방향*

image

  • 객체 연관관계
    • 회원 객체는 Member.team 필드로 팀 객체와 연관관계를 맺는다.
    • 회원 객체와 팀 객체는 단방향 관계다. 회원은 Member.team 필드를 통해서 팀을 알 수 있지만 반대로 팀은 회원을 알 수 없다. member → team의 조회는 member.getTeam()으로 가능하지만 반대 방향으로 접근하는 필드는 없다.
  • 테이블 연관관계
    • 회원 테이블은 TEAM_ID 외래 키로 팀 테이블과 연관관계를 맺는다.
    • 회원 테이블과 팀 테이블은 양방향 관계다. 회원 테이블의 TEAM_ID 외 키를 통해서 회원과 팀을 조인할 수 있고, 반대로 팀과 회원도 조인할 수 있다.

회원과 팀을 조인하는 SQL

1
2
3
SELECT *
FROM member, team
WHERE member.team_id = team.team_id;
  • 객체 연관관계와 테이블 연관관계의 가장 큰 차이

    참조를 통한 연관관계는 언제나 단방향이다. 객체간에 연관관계를 양방향으로 만들고 싶으면 반대쪽에도 필드를 추가해서 참조를 보관해야 한다. 결국 연관관계를 하나 더 만들어야 하는 것이다. 이렇게 양쪽에서 서로 참조하는 것을 양방향 연관관계라고 한다.

    하지만 정확히 말하면 이것은 양방향 관계가 아니라 서로 다른 단방향 관계 2개다. 반면에 테이블은 외래 키 하나로 양방향으로 조인할 수 있다.

  • 객체 연관관계 vs 테이블 연관관계 정리

    • 객체는 참조로 연관관계를 맺는다.

    • 테이블은 외래 키로 연관관계를 맺는다.

      이 둘은 비슷해 보이지만 매우 다른 특징을 가진다. 연관 데이터를 조회할 때 객체는 참조, 테이블은 조인을 사용한다.

    • 참조를 사용하는 객체의 연관관계는 단방향이다.

      • A → B (a.b)
    • 외래 키를 사용하는 테이블의 연관관계는 양방향이다.

      • A JOIN B가 가능하면 B JOIN A도 가능하다.
    • 객체를 양방향으로 참조하려면 단방향 연관관계를 2개 만들어야 한다.

      • A → B (a.b)
      • B → A (b.a)

이제 순수한 객체 연관관계 예제와 순수한 테이블 연관관계 예제를 보고 둘을 매핑해보자.

5.1.1 순수한 객체 연관관계

다음 코드는 JPA를 사용하지 않은 순수하게 객체만 사용한 회원과 팀 클래스의 코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public class Member {
  
  private String id;
  private String username;
  
  private Team team; // 팀의 참조를 보관
  
  public void setTeam(final Team team) {
    this.team = team;
  }
  
  // Getter, Setter ...
  
}

public class Team {
  
  private String id;
  private String name;
  
  // Getter, Setter ...
  
}

동작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생성자(id, 이름)
  Member member1 = new Member("member1", "회원1");
  Member member2 = new Member("member2", "회원2");
  Team team1 = new Team("team1", "팀1");
  
  member1.setTeam(team1);
  member2.setTeam(team1);
  
  Team findTeam = member1.getTeam();
} 

` Team findTeam = member1.getTeam();` 처럼 회원1이 속한 팀1을 조회할 수 있다. 이처럼 객체는 참조를 사용해 연관관계를 탐색할 수 있는데 이것을 객체 그래프 탐색이라 한다.

5.1.2 테이블 연관관계

이번에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회원과 팀의 관계를 살펴보자.

테이블 DDL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CREATE TABLE member
(
    member_id varchar(255) primary key,
    team_id   varchar(255),
    username  varchar(255),
    CONSTRAINT fk_member_team FOREIGN KEY (team_id)
        REFERENCES team (team_id)
);

CREATE TABLE team
(
    team_id varchar(255) primary key,
    name varchar(255)
);

INSERT SQL

1
2
3
4
INSERT INTO team VALUES ('team1', '팀1');

INSERT INTO member VALUES ('member1', 'team1', '회원1'),
                          ('member2', 'team1', '회원2');

회원 1이 소속된 팀을 조회하는 SQL

1
2
3
select t.*
FROM member m, team t
WHERE m.team_id = t.team_id and m.member_id = 'member1';

이처럼 데이터베이스는 외래 키를 사용해서 연관관계를 탐색할 수 있다.

5.1.3 객체 관계 매핑

지금까지 객체만 사용한 연관관계와 테이블만 사용한 연관관계를 각각 알아보았으니, 이제 JPA를 사용해서 둘을 매핑해보자.

image

  • 객체 연관관계: 회원 객체의 Member.team 필드 사용
  • 테이블 연관관계: 회원 테이블의 MEMBER.TEAM_ID 외래 키 컬럼을 사용
1
2
3
  @ManyToOne
  @JoinColumn(name = "team_id")
  private Team team;
  • @ManyToOne : 이름 그대로 다대일 관계라는 매핑 정보다. 회원과 팀은 다대일 관계다. 연관관계를 매핑할 때 이렇게 다중성을 나타내는 애노테이션을 필수로 사용해야 한다.
  • @JoinColumn(name=”team_id”): 조인 컬럼은 외래 키를 매핑할 때 사용한다. name 속성에는 매핑할 외래 키 이름을 지정한다. 이 애노테이션은 생략할 수 있다.

5.1.4 @JoinColumn

@JoinColumn은 외래 키를 매핑할 때 사용한다.

속성기능기본값
name매핑할 외래 키 이름필드명 + _ + 참조하는 테이블의 기본 키 컬럼명
referencedColumnName외래 키가 참조하는 대상 테이블의 컬럼명참조하는 테이블의 기본 키 컬럼명
foreignKey(DDL)외래 키 제약조건을 직접 지정할 수 있다. 이 속성은 테이블을 생성할 때만 사용한다. 
unique
nullable
insertable
updatable
columnDefinition
table
@Column의 속성과 같다. 

@ManyToOne

속성기능기본값
optionalfalse로 설정하면 연관된 엔티티가 항상 있어야 한다.true
fetch글로벌 페치 전략을 설정한다8장에서 자세히.@ManyToOne=FetchType.EAGER
@OneToMany=FetchType.LAZY
cascade영속성 전이 기능을 사용한다8장에서 자세히. 
targetEntity연관된 엔티티의 타입 정보를 설정한다.
이 기능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컬렉션을 사용해도 제네릭으로 타입 정보를 알 수 있다.
 
1
2
3
4
5
@OneToMany
private List<Member> members; // 제네릭으로 타입 정보를 알 수 있다.

@OneToMany(targetEntity=Member.class)
private List members; // 제네릭이 없으면 타입 정보를 알 수 없다.

5.2 연관관계 사용

연관관계 매핑 작업이 끝났으니 등록, 수정, 삭제, 조회하는 예제를 통해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보자.

5.2.1 저장

회원과 팀을 저장하는 코드

중요한 부분을 분석해보자.

1
2
    member1.setTeam(team1);  // 회원 -> 팀 참조
    em.persist(member1);     // 저장

회원 엔티티는 팀 엔티티를 참조하고 저장했다. 이때 실행된 SQL을 보면 회원 테이블의 외래 키 값으로 참조한 팀의 식별자 값이 입력된 것을 알 수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Hibernate: 
    /* insert io.wisoft.daewon.entity.Team
        */ insert 
        into
            Team
            (name, team_id) 
        values
            (?, ?)
Hibernate: 
    /* insert io.wisoft.daewon.entity.Member
        */ insert 
        into
            Member
            (team_id, username, member_id) 
        values
            (?, ?, ?)
Hibernate: 
    /* insert io.wisoft.daewon.entity.Member
        */ insert 
        into
            Member
            (team_id, username, member_id) 
        values
            (?, ?, ?)

5.2.2 조회

연관관계가 있는 엔티티를 조회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이다.

  • 객체 그래프 탐색객체 연관관계를 사용한 조회
  • 객체지향 쿼리 사용JPQL

  • 객체 그래프 탐색

    member.getTeam()을 사용해서 member와 연관된 team 엔티티를 조회할 수 있다.

    1
    2
    3
    
    Member member = em.find(Member.class, "member");
    Team teeam = member.getTeam(); // 객체 그래프 탐색
    System.out.println("팀 이름 = " + team.getName()); // 출력 결과 : 팀 이름 = 팀1
    

    객체를 통해 연관된 엔티티를 조회하는 것을 객체 그래프 탐색이라 한다8장에서 자세히.

  • 객체지향 쿼리 사용

    JPQL도 조인을 지원하므로 연관된 테이블을 조인해서 검색조건을 사용하면 된다.

    JPQL 조인 탐색

    JPQL의 from Member m from m.team t 부분을 보면 회원이 팀과 관계를 가지고 있는 필드m.team를 통해서 Member와 Team을 조인했다. 그리고 where 절에서 t.name을 검색 조건으로 사용해서 팀1에 속한 회원만 검색했다.

    참고로 teamName과 같이 :로 시작하는 것은 파라미터를 바인딩받는 문법이다. 이때 실행되는 SQL을 보자.

    1
    2
    3
    4
    
    SELECT m.*
    FROM member m
    inner join team t on m.team_id = t.team_id
    where t.name='팀1';
    

    SQL과 JPQL을 비교하면 JPQL은 객체엔티티를 대상으로 하고 SQL보다 간결하다. 객체 쿼리는 10장에서 자세히 다룬다.

5.2.3 수정

팀1 소속이던 회원을 새로운 팀2에 소속하도록 수정해보자.

연관관계 수정 코드

1
2
3
4
5
6
7
8
9
Hibernate: 
    /* update
        io.wisoft.daewon.entity.Member */ update
            Member 
        set
            team_id=?,
            username=? 
        where
            member_id=?

실행되는 수정 SQL은 위와 같다. 단순히 불러온 엔티티의 값만 변경해두면 트랜잭션을 커밋할 때 플러시가 일어나면서 변경 감지 기능이 작동한다. 그리고 변경사항을 데이터베이스에 자동으로 반영한다. 이것은 연관관계를 수정할 때도 같으므로 참조하는 대상만 변경하면 나머지는 JPA가 자동으로 처리한다.

5.2.4 연관관계 제거

회원 1을 팀에 소속하지 않도록 변경해보자.

연관관계 제거 코드

이 때 실행되는 SQL은 다음과 같다.

1
2
3
4
5
6
7
        update
            Member 
        set
            team_id=null,
            ... 
        where
            member_id='member1'

5.2.5 연관된 엔티티 삭제

연관된 엔티티를 삭제하려면 기존에 있던 연관관계를 먼저 제거하고 삭제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외래 키 제약조건으로 인해 데이터베이스에서 오류가 발생한다. 이때 팀1을 삭제하려면 연관관계를 먼저 끊어야 한다.

1
2
3
member1.setTeam(null);
member2.setTeam(null);
em.remove(team);

5.3 양방향 연관관계

지금까지 회원에서 팀으로만 접근하는 다대일 단방향 매핑을 알아보았다. 이번에는 팀에서 회원으로 접근하는 관계를 추가해보자.

양방향 객체 연관관계

image

먼저 객체 연관관계를 보면 회원과 팀은 다대일 관계다. 반대로 팀에서 회원은 일대다 관계다. 일대다 관계는 여러 건과 연관관계를 맺을 수 있으므로 컬렉션을 사용해야 한다. Team.members를 List 컬렉션으로 추가했다.

  • 회원 → 팀 : Member.team
  • 팀 → 회원 : Team.members

JPA는 List를 포함한 Collection, Set, Map 같은 다양한 컬렉션을 지원한다.

테이블의 관계는 미리 말한 것처럼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은 외래 키 하나로 양방향으로 조회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할 내용은 전혀 없다.

image

5.3.1 양방향 연관관계 매핑

회원 엔티티에는 변경할 부분이 없다. 팀의 엔티티를 보자.

매핑한 팀 엔티티

팀과 회원은 일대다 관계다. 따라서 members를 추가해주었다. 그리고 일대다 관계를 매핑하기 위해 @OneToMany 매핑 정보를 사용했다. mappedBy 속성은 양방향 매핑일 때 사용하는데 반대쪽 매핑의 필드 이름을 값으로 주면 된다.

이것으로 양방향 매핑을 완료했으니 팀1에 소속된 모든 회원을 찾아보자.

5.3.2 일대다 컬렉션 조회

일대다 방향으로 객체 그래프 탐색

실행 결과

1
2
member.username=회원1
member.username=회원2

5.4 연관관계의 주인

@OneToMany는 직관적으로 이해가 가지만 문제는 mappedBy 속성이다. mappedBy는 왜 필요한지 알아보자.

객체에서의 양방향 연관관계는 사실 없다. 서로 다른 단방향 연관관계 2개를 애플리케이션 로직으로 잘 묶어서 양방향인 것처럼 보이게 할 뿐이다. 반면에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은 앞서 설명했듯이 외래 키 하나로 양쪽이 서로 조인할 수 있다.

  • 회원 → 팀 연관관계 1개단방향
  • 팀 → 회원 연관관계 1개단방향

테이블은

  • 회원 ↔ 팀 연관관계 1개양방향

다시 강조하자면 테이블은 외래 키 하나로 두 테이블의 연관관계를 관리한다.

엔티티를 단방향으로 매핑하면 참조를 하나만 사용하므로 이 참조로 외래 키를 관리하면 된다. 그런데 엔티티를 양방향으로 매핑하면 두 곳에서 서로를 참조하므로 객체의 연관관계를 관리하는 포인트는 2개로 늘어난다.

엔티티를 양방향 연관관계로 설정하면 객체의 참조는 둘인데 외래 키는 하나다. 따라서 둘 사이에 차이가 발생한다.

이런 차이로 인해 JPA는 두 객체 연관관계 중 하나를 정해 테이블의 외래 키를 관리하는데 이걸 연관관계의 주인Owner이라 한다.

5.4.1 양방향 매핑의 규칙: 연관관계의 주인

양방향 연관관계 매핑 시 두 연관관계 중 하나를 연관관계의 주인으로 정해야 한다. 연관관계의 주인만이 데이터베이스 연관관계와 매핑되고 외래키를 관리등록, 수정, 삭제할 수 있다. 반면에 주인이 아닌 쪽은 읽기만 가능하다.

어떤 연관관계를 주인으로 정할지는 mappedBy 속성을 사용하면 된다.

  • 주인은 mappedBy 속성을 사용하지 않는다.
  • 주인이 아니면 mappedBy 속성을 사용해서 속성의 값으로 연관관계의 주인을 지정해야 한다.

그렇다면 Member.team, Team.members 중 어떤 것을 연관관계의 주인으로 해야할까?

연관관계의 주인을 정한다는 것은 외래 키 관리자를 선택하는 것이다. 만약 회원 엔티티에 있는 Member.team을 주인으로 선택하면 자기 테이블에 있는 외래 키를 관리하면 된다. 하지만 Team.members를 주인으로 선택하면 물리적으로 전혀 다른 테이블의 외래 키를 관리해야 한다.

5.4.2 연관관계의 주인은 외래 키가 있는 곳

따라서 연관관계의 주인은 테이블에 외래 키가 있는 곳으로 정해야 한다. 여기서는 회원 테이블에 외래 키가 있으므로 Member.team이 주인이 된다. 주인이 아닌 Team.members에는 mappedBy=”team” 속성으로 주인이 아님을 설정한다. mappedBy의 값은 연관관계의 주인을 주면 된다. 여기서 “team”은 Member 엔티티의 team 필드를 말한다.

image

정리하면 연관관계의 주인만 데이터베이스 연관관계와 매핑되고 외래 키를 관리할 수 있다. 주인이 아닌 반대편inverse, non-owning side은 읽기만 가능하고 외래 키를 변경하지는 못한다.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다대일, 일대다 관계에서는 항상 다 쪽이 외래 키를 가진다. 다 쪽인 @ManyToOne은 항상 연관관계의 주인이 되므로 mappedBy를 설정할 수 없다. 따라서 ManyToOne에는 mappedBy 속성이 없다.

5.5 양방향 연관관계 저장

양방향 연관관계를 사용해서 팀1, 회원1, 회원2를 저장해보자.

양방향 연관관계 저장

참고로 이 코드는 단방향 연관관계에서 살펴본 회원과 팀을 저장하는 코드와 완전히 같다. 데이터베이스에서 회원 테이블을 조회 해보자.

양방향 연관관계에서는 연관관계의 주인이 외래 키를 관리한다. 따라서 주인이 아닌 방향은 값을 설정하지 않아도 데이터베이스에 외래 키 값이 정상 입력된다.

1
2
3
4
5
6
7
// 주인이 아닌 곳에 입력된 값은 외래 키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team1.getMembers().add(member1); // 무시(연관관계의 주인이 아님)
team1.getMembers().add(member2); // 무시(연관관계의 주인이 아님)

// Member.team은 연관관계의 주인이므로 엔티티 매니저는 이곳에 입력된 값을 사용해서 외래 키를 관리한다.
member1.setTeam(team1); // 연관관계 설정(연관관계의 주인)
member2.setTeam(team1); // 연관관계 설정(연관관계의 주인)

5.6 양방향 연관관계의 주의점

데이터베이스에 외래 키 값이 정상적으로 저장되지 않으면 주인이 아닌 곳에만 값을 입력하지 않는지 의심해봐야 한다.

주인이 아닌 곳에만 값을 설정하면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자.

회원1, 회원2를 저장하고 팀의 컬렉션에 담은 후에 팀을 저장했다. 데이터베이스에서 회원 테이블을 조회해보자.

연관관계의 주인이 아닌 Team.members에만 값을 저장했으므로 team_id에 null 값이 입력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5.6.1 순수한 객체까지 고려한 양방향 연관관계

정말 연관관계의 주인에만 값을 저장하고 주인이 아닌 곳에는 값을 저장하지 않아도 될까? 사실은 객체 관점에서 양쪽 방향에 모두 값을 입력해주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양쪽 방향 모두 값을 입력하지 않으면 JPA를 사용하지 않는 순수한 객체 상태에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JPA를 사용하지 않고 엔티티에 대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한다고 해보자. ORM은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둘 다 중요한데, 데이터베이스와 객체 모두 고려해야 한다.

순수한 객체 연관관계

실행 결과

1
members.size = 0

Member.team에만 연관관계를 설정하고 반대 방향은 연관관계를 설정하지 않았다. 실행 결과를 보면 우리가 기대하던 양방향 연관관계가 아닌 것을 볼 수 있다.

양방향은 양쪽다 관계를 설정해야 한다. 위처럼 회원 → 팀을 설정하면 반대방향인 팀 → 회원도 설정해야 한다.

team1.getMembers().add(member1);

양방향 모두 관계를 설정

실행 결과

1
members.size = 2

양쪽 모두 관계를 설정하니 기대했던 결과 2가 나온다.

객체 까지 고려하면 이렇게 양쪽 다 관계를 맺어야 하는 것이다. 이제 JPA를 사용해서 완성한 코드를 보자.

JPA로 코드 완성

양쪽에 연관관계를 설정했다. 따라서 순수한 객체 상태에서도 동작하고, 테이블의 외래 키도 정상 입력된다. 물론 외래 키의 값은 연관관계의 주인인 Member.team 값을 사용한다.

  • Member.team: 연관관계의 주인, 이 값으로 외래 키를 관리한다.
  • Team.members: 연관관계의 주인이 아니다. 따라서 저장 시에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결론은 객체의 양방향 연관관계는 양쪽 모두 관계를 맺어주자.

5.6.2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

양방향 연관관계는 결국 양쪽 다 신경 써야 한다. 위처럼 양방향 연관관계 코드를 작성하다보면 둘 중 하나만 실수로 놓치게되면 양방향이 깨질 수 있다.

따라서 양방향 관계에선 두 코드를 하나인 것처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이렇게 리팩토링하면 실수도 줄어들고 좀 더 그럴듯하게 양방향 연관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한 번에 양방향 관계를 설정하는 메서드를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라 한다.

5.6.3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 작성 시 주의사항

하지만 이전의 setTeam() 메서드에는 사실 버그가 있다.

1
2
3
member.setTeam(teamA); // 1
member.setTeam(teamB); // 2
Member findMember = teamA.getMember(); // member1이 여전히 조회된다.

이 시나리오를 그림으로 분석해보자.

1

image

2(삭제되지 않은 관계)

image

teamB로 변경할 때 teamA → member1 관계를 제거하지 않았다. 따라서 기존 팀과 회원의 연관관계를 삭제하는 코드를 추가해야 한다.

이 코드는 서로 다른 단방향 연관관계 2개를 양방향인 것처럼 보이게 하기위해 얼마나 많은 고민과 수고가 필요한지 보여준다.

반면에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외래 키 하나로 문제를 단순하게 해결한다. 객체에서 양방향 연관관계를 사용하려면 로직을 견고하게 작성해야 한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희망편03)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희망편05)

Comments powered by Disqus.

Trending Tags